티스토리 뷰

목차

    요즘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거액 입금 전에 검증비를 내라"는 식의 사기가 성행하고 있는데요. 최근 사례를 바탕으로 보이스피싱을 구별하는 방법과, 만약 돈을 보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려드립니다.

    🔥 보이스피싱 사례 분석: "검증비 2??만원 요구"

    최근 SNS와 메신저에서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 "거액 입금 전, 검증비가 필요하다"
      → 정상적인 금융거래라면 검증비나 수수료를 사전에 요구하지 않습니다.
    • 🏦 실제 은행명을 사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 국민은행(KB BANK)처럼 실제 존재하는 은행명을 사용하지만, 실제 은행과는 무관한 사기 계좌입니다.
    • 📱 급하게 돈을 보내라고 압박한다
      → "즉시 입금해달라", "시간이 없으니 빨리 보내라"는 식으로 심리적으로 몰아붙입니다.
    • 🧾 "스크린샷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협박
      → "입금 내역을 스크린샷으로 저장했다"며 돈을 안 보내면 문제가 생길 거라고 협박합니다.

    🛑 돈을 보냈다면? 이렇게 대응하세요!

    만약 실수로 돈을 보냈다면, 최대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1. 즉시 은행에 전화하여 지급정지 요청
      • KB국민은행 ☎️ 1588-9999 / 1599-9999
      • 우리은행 ☎️ 1588-5000 / 1599-5000
      • 신한은행 ☎️ 1577-8000
      • 하나은행 ☎️ 1588-1111
      → 은행에 전화해서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로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라고 말하세요.
    2. 경찰청(☎112) 및 금융감독원(☎1332) 신고
      • 경찰청에서 사기 계좌를 즉시 차단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에 신고하면 추가 피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3. 사기 계좌를 ‘사기계좌조회 서비스’에서 등록
    4. 카카오톡, 문자 등을 캡처해 증거 보관
      • 채팅 내역, 입금 요청 내용, 계좌번호 등 모든 자료를 증거로 저장해두세요.

    💡 보이스피싱 예방법

    1. 모르는 번호, 출처 불분명한 메시지는 무시
    2. "검증비", "세금", "수수료" 등 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
    3. 가족이나 지인에게 먼저 확인 후 행동
    4. 은행에 전화해서 해당 계좌가 정상 계좌인지 문의
    5. 사기 의심되면 즉시 경찰에 신고

    🔚 마무리

    보이스피싱은 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님 세대는 이런 사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미리 알려드리고 주의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번 사례처럼 "검증비", "보증금"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사기입니다. 혹시라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절대 돈을 보내지 말고, 즉시 은행과 경찰에 신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