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솔직히 말해서… 일반인 입장에서는 이게 도대체 우리 삶이랑 무슨 상관인지 감이 잘 안 옵니다.

     

    그래서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해봤습니다.

     

    “탄소중립을 정책이 아니라 내 일상 속에 어떻게 녹여넣을까?

     

    학생이라면 미래를 준비하는 방향으로,

     

    직업이 없는 분이라면 새로 뭘 배워야 할지 힌트를 얻는 쪽으로요.

     

     

    그래서 자격증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인터넷에 흩어진 정보들을 모으고, 기사와 책을 뒤적이며

     

    “이건 진짜 내 밥벌이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싶은 것들만 뽑았습니다.

     

    투자 이야기도 살짝 담았지만, 저는 전문 투자자는 아닙니다.

     

    다만 2025년, 2026년쯤 어디로 돈이 흐를지 산업의 방향에서 감을 잡아본 겁니다.

     

    전문가의 예언보다는, 현실적인 나침반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어요.

     

     

    한마디로, 이 글은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공부, 일, 투자 — 세 가지를 어떻게 연결할까”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는 기록입니다.

     

    탄소중립 정의는 아래 링크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탄소중립?넷제로 신산업 혁명? 우리가 알아둬야 하는 것

    ‘탄소중립’이나 ‘넷제로’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인터넷이나 위키피디아를 찾아보면 ...

    blog.naver.com

     

    학생과 백수가 주목할 자격증 — 지금 공부하면 밥이 된다

    아르바이트비로 버티는 학생이든, 내일 아침 눈뜨면 뭐부터 시작할지 막막한 백수든, “지금 뭘 배우면 밥벌이가 되냐”가 제일 큰 관심사죠.


    투자자도 다르지 않습니다.

     

    돈이 흐르는 곳은 어디인지, 그 흐름이 정책과 기술에 얼마나 오래 붙어 있을지가 핵심이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말뿐인 친환경’이 아니라 실제로 채용·발주·투자 공고로 이어지는 자격증과, 기관과 대기업의 뉴스로 확인되는 투자 포인트만 조곤조곤 풀어보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는 태양광 발전 기획·설계·시공·운영 전 과정을 다루는 국가기술자격이라 현장 배치에 바로 쓰입니다.

     

    큐넷 공식 안내 페이지에서 과목과 응시 자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건축물에너지평가사는 건물의 단열·설비·운영 효율을 종합 평가하는 제도로 그린건설·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흐름과 맞물려 수요가 꾸준합니다.

     

    응시자격과 제도 안내는 한국에너지공단 전용 페이지가 가장 정확합니다. 

     

    건축물에너지평가사

    2025-08-18 10:00 2025년 제11회 건축물에너지평가사 제1차 시험 합격자 발표 및 제2차 시험 원서접수 안내 Read More 2025-07-25 10:00 2025년 제11회 건축물에너지평가사 제1차 시험 최종답안, 합격예정자 발표

    min24.energy.or.kr

     

     

    온실가스관리기사는 기업의 배출량 인벤토리 구축과 감축 실무를 맡을 수 있어 ESG 공시와 직접 맞닿습니다.

     

    시험 정보와 직무 개요는 큐넷에서 공식 제공됩니다.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대기환경기사와 수질환경기사는 산업현장의 필수 규제 대응 역량입니다.

     

    배출시설 인허가, 모니터링, 개선 계획 수립까지 실무를 끌고 가는 포지션에 적합합니다. 공식 시험안내는 각각 큐넷에서 확인하세요.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는 태양광, 풍력, ESS,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까지 시공·감리·유지보수의 기본 자격입니다.

     

    전력 수요가 늘수록 값이 오르는 건 인력의 시간과 경험이니까요. 시험 세부는 큐넷 공고가 표준입니다.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데이터가 전력을 먹는 시대라면, 데이터 분석 자격도 에너지 업으로 스며듭니다.

     

    ADsP와 ADP는 수요예측, 부하관리, 설비운영 최적화에 바로 투입 가능한 역량을 증명합니다.

     

    공식 안내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자격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안전합니다. 

     

    데이터자격검정 - 데이터자격시험, DAP, DAsP, SQLP, SQLD, ADP, ADsP.

    데이터자격시험, DAP, DAsP, SQLP, SQLD, ADP, ADsP.

    www.dataq.or.kr

     

     

    해외 자격으로는 NABCEP가 태양광 분야의 사실상 글로벌 표준처럼 쓰입니다.

     

    설계·시공·운영 트랙이 나뉘어 있어 현장 경력과 잘 맞춥니다.

     

    Certifications - NABCEP

    NABCEP is committed to providing credential programs of quality and integrity for the professionals and the consumers/public it is designed to serve. NABCEP’s programs are administered to the highest standards for certifications and testing.

    www.nabcep.org

     

     

    그린빌딩 쪽은 LEED AP와 WELL AP가 쌍두마차입니다.

     

    설계·시공·운영 단계에서 에너지 절감과 건강·웰빙 기준을 끌어올리는 프로젝트에 투입될 때 무게가 실립니다. 

     

    LEED AP with specialty | U.S. Green Building Council

    By clicking logout button below, you will be logged out of all the USGBC and GBCI applications in this browser. Click the logout button below to continue logging out or cancel button to stay logged in.

    www.usgbc.org

     

     

     

    에너지 경영·효율 최적화 쪽은 AEE의 CEM가 글로벌로 통용됩니다. 공장·건물·데이터센터의 에너지 비용을 숫자로 줄이는 역할에 직결됩니다. 

     

    Certified Energy Manager® - CEM® - AEE Center

    The Gold Standard in Energy Management Certification for Over 40 Years Ready to lead the charge in energy efficiency and decarbonization? The Certified Energy Manager (CEM) is the industry's most respected certification, empowering professionals like you t

    www.aeecenter.org

     

     

    기업 배출검증 실무는 ISO 14064 교육과 검증 경험이 핵심입니다.

     

    국내외 교육 기관에서 14064-1/2/3 기반 교육과 검증 과정을 제공합니다.

     

    ISO 14064 – Auditor Training – Greenhouse Gas Accounting and Verification

    ISO 14064 provides industry and government with a set of tools to develop programs aimed at reduc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www.sgs.com

     

     

     

    투자자는 어디에 돈을 꽂을까 — 정책이 가리키는 산업의 방향

     

    이제 투자자의 시선을 따라가 보죠. 태양광이라면 패널 제조사만 보는 순간 이미 반은 놓친 겁니다.

     

    폴리실리콘부터 셀·모듈, 인버터, 추적장치, EPC, 그리고 무엇보다 ESS와 전력망 연계가 같이 움직여야 전기가 돈이 됩니다.

     

    세계 신규 전력 증설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보도는 방향성을 충분히 말해줍니다. 

     

     

    Renewable energy jumps to new high, powered by China solar boom

    An international agency reports that the installation of renewable energy worldwide hit a record high last year, with 92.5% of all new electricity brought online coming from the sun, wind or other clean sources.

    apnews.com

     

     

    풍력은 해상케이블과 변전 설비로 확대됩니다.

     

    국내 LS전선의 HVDC(초고압직류) 라인 증설·수주 소식이 계속 이어지는 이유도, 분산형 재생에너지를 계통에 제대로 실어 나를 ‘길’이 필요해서입니다. 

     

     

    Construction of 'Asia's largest HVDC cable facility' wraps up

    South Korean LS Cable & System has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what it says is the largest HVDC cable production facility in Asia.

    www.offshore-energy.biz

     

     

    수소 연료전지 쪽은 데이터센터 전력수요와 맞물려 다시 호흡을 고르는 중입니다.

     

    두산퓨얼셀의 SOFC 양산 개시는 분산전원과 마이크로그리드 수요를 겨냥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Doosan Fuel Cell begins mass production of fuel cell power systems using Ceres technology

    Doosan Fuel Cell has commenced mass market production of fuel cell stacks using Ceres' solid oxide technology at its dedicated factory in South Korea.

    www.ceres.tech

     

     

     

    CCUS는 ‘되돌릴 수 없는 탄소’를 처리하는 후방산업입니다.

     

    북해 ‘노던라이츠’가 실제 주입을 시작했다는 소식은 기술·사업 모델이 실전 단계라는 의미입니다.

     

    저장용량과 2단계 증설 계획까지 공개된 만큼, 한국 동해가스전 등 국내 실증이 속도를 낼 때 가치사슬이 커질 여지가 있습니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의 인터넷입니다.

     

    정부의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RE100 산업단지 추진, 송변전 설비 대규모 확충 로드맵 등은 전력 IT·계통·케이블·변환설비에 장기 수요가 들어온다는 신호입니다.

     

    공식 문서와 업계 리포트를 틈틈이 보는 습관만으로도 포트폴리오의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습니다. 

     

    데이터센터 전력 이슈는 앞으로도 뉴스에 자주 오를 겁니다.

     

    AI 붐이 꺼지지 않는 한, 친환경 전력조달·분산특구·HVDC 신규 라인 같은 키워드가 기업 밸류와 지역 정책을 함께 흔듭니다.

     

    최근 국내 보도들도 그 맥락을 짚고 있습니다. 

     

    말만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오늘도 지역 발전소는 멈춰 있다

    정부가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전력 인프라 확충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선 수도권 집중·송전망 병목·지역발전소 가동률 저하 현상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데이터센터..

    m.ekn.kr

     

     

    정리해보면, 취업·이직을 노리는 쪽은 ‘전력·설비·환경·데이터’로 이어지는 자격증과 프로젝트 경험을 한 줄로 엮어 두세요.

     

    태양광 현장과 전기·환경 자격으로 뼈대를 만들고, 에너지 데이터와 배출 검증으로 근육을 붙이면 어디서든 쓰입니다.


    투자자는 모듈·터빈 같은 전면만 보지 말고, 케이블·HVDC·배전기기·계통 소프트웨어·검증·운영까지 뒤편에서 돈을 버는 부품과 서비스에 시야를 넓히세요.

     

    트렌드는 뉴스가, 캐시는 인프라가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