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임신 27주 차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 심장 기형 의심"이라는 소견을 들으면 걱정이 많으실 것입니다. 특히, '대동맥 궁 협착(aortic arch narrow isthmus)'이나 '기관 확장(dilated trachea)' 같은 의학 용어가 낯설어 더욱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음파 검사 소견을 쉽게 풀어보고, 태아 심장 기형이 의심될 때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 태아 심장 기형 의심 소견, 무슨 뜻일까?

    초음파 검사에서 확인된 주요 용어들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동맥 궁 협착 (Aortic Arch Narrow Isthmus)

    • 대동맥 궁(Arch)은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는 큰 혈관입니다.
    • 해당 부분이 좁아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 만약 심각하다면 대동맥 축착(Coarctation of the Aorta, CoA) 의심이 됩니다.

    2. Color Doppler 초음파에서 흐름이 명확하지 않음 (Invisible Tubulent Color Doppler)

    • 초음파로 혈류 흐름을 확인하는데,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기관 확장 (Dilated Trachea) 및 Bronchopulmonary 연결 구조

    • 기관(Trachea)이 확장된 것처럼 보이는 구조물이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상적인 폐정맥이 보이지만 기관과 연결된 것처럼 보여 추가 검사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왜 대학병원에서 추가 검사를 권할까?

    태아 심장 기형이 의심되면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대학병원에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검사

    • 태아 심장 초음파 검사 (Fetal Echocardiography) : 심장 구조와 혈류 흐름을 정밀 분석하는 검사
    • 컬러 도플러 초음파 (Color Doppler Ultrasound) : 혈류 흐름을 확인해 협착 여부 평가
    • MRI 또는 CT 촬영 : 필요한 경우, 보다 정밀한 진단을 위해 시행될 수 있음

    추가 검사를 하면 보다 명확한 결과를 알 수 있으므로 섣불리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3️⃣ 태아 심장 기형, 얼마나 위험할까?

    태아 심장 기형은 심각도에 따라 다르게 평가됩니다.

     

    🔹 경미한 경우: 출생 후 혈류가 원활하면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 관찰 가능

    🔹 중증인 경우: 출생 후 수술을 통해 대동맥을 넓혀주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대부분의 심장 기형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미리 발견하는 것이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4️⃣ 초음파 소견이 나왔을 때 임산부가 해야 할 일

    추가 검사 예약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동안 준비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록 정리:

    • 초음파 검사 결과와 의사의 설명을 메모해 두세요.
    • 의뢰서 내용을 사진으로 찍어두면 나중에 확인하기 쉽습니다.

    병원 방문 시 준비할 질문:

    • 대동맥 궁 협착이 실제로 있는지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
    • 출생 후 치료가 필요한 경우 어떤 방법이 있나요?
    • 추가로 검사해야 할 항목이 있나요?

    마음 편하게 가지기:

    • '기형 의심'이라는 표현이 무섭게 들리지만, 추가 검사를 해 봐야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
    • 대동맥 협착이 있어도 출생 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많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5️⃣ 결론: 추가 검사 후 정확한 진단이 중요!

    임신 중 태아의 심장 기형이 의심될 경우, 대학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현재 상태로는 '기형 의심'일 뿐 확진이 아니므로, 너무 걱정하지 말고 추가 검사를 통해 명확한 설명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생 후 치료가 가능한 기형도 많으니 불안해하지 마세요.

     

    대학병원 정밀 검사 예약 전, 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미리 준비하세요!